반응형
상한가 하한가 (가격 제한 폭)이 생겨난 이유:
증권시장은 자본주의체제에서 가장 대표적인 완전경쟁시장이라 할 수 있지만 매수는 또 다른 매수를 불러일으켜 주가상승을 재촉하고 매도는 역시 다른 매도를 촉발시켜 주가하락을 심화시키는 시장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를 제한시켜 어느 정도 주가의 급등락을 완화하고자 각 종목별 하루의 상,하한가 가격폭 제한을 하고 있다.
상한가 하한가 가격 제한 폭의 정의 :
상한가 하한가 가격폭 제한은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해서 해당 가격에 대한 제한폭을 미리 결정하여 놓고 상승시에는 상한가까지, 하락시에는 하한가까지 제한시키는 제도이다.
상한가 하한가 가격 제한 폭의 범위:
각 가격단위별 가격 등락폭이 각기 다르게 규정하였던 것을 1995년에는 6% 범위내에서 상한가,하한가를 결정하였다.
증권시장은 자본주의체제에서 가장 대표적인 완전경쟁시장이라 할 수 있지만 매수는 또 다른 매수를 불러일으켜 주가상승을 재촉하고 매도는 역시 다른 매도를 촉발시켜 주가하락을 심화시키는 시장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를 제한시켜 어느 정도 주가의 급등락을 완화하고자 각 종목별 하루의 상,하한가 가격폭 제한을 하고 있다.
상한가 하한가 가격 제한 폭의 정의 :
상한가 하한가 가격폭 제한은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해서 해당 가격에 대한 제한폭을 미리 결정하여 놓고 상승시에는 상한가까지, 하락시에는 하한가까지 제한시키는 제도이다.
상한가 하한가 가격 제한 폭의 범위:
각 가격단위별 가격 등락폭이 각기 다르게 규정하였던 것을 1995년에는 6% 범위내에서 상한가,하한가를 결정하였다.
과거에는 주가가 높은 경우 그 상,하한가의 폭이 적던 것이 일률적으로 6%로 결정함에 따라 고가주보다 저가주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후 상한가 하한가의 제한 폭은 신증권정책에 의해 1996년 11월 상한가 하한가 가격폭 제한을 8%로 확대하었으며 1998년 3월에 상한가 하한가 제한폭을 12% 1998년 12월에 상한가 하한가 제한폭을15%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2015년 6월 15월에 상한가 하한가 제한 폭을 30%로 변경하여 현재도 30%이다.
상한가 하한가 가격 제한 폭의 한계 :
상한가 하한가 가격폭 제한을 하게 되면 주가가 급등할 때는 사자는 주문이 팔자는 주문을 훨씬 초과해서 사자는 주문의 잔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다음날 주가상승으로 이어지게 하고 반대로 주가가 급락할 때는 매도주문이 쌓여 매도잔량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그 다음날에도 주가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한가 #하한가 #주식 상한가 #주식 하한가
반응형
'투자 관련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용어를 알자. 6 상장이란 무엇인가 (0) | 2014.03.23 |
---|---|
주식 용어를 알자. 5 공시란 무엇인가 (0) | 2014.03.22 |
주식 용어를 알자. 4 감사의견이란 무엇인가 (0) | 2014.03.22 |
주식 용어를 알자. 3 시가총액이란 무엇인가 (0) | 2014.03.21 |
주식 용어를 알자. 1 배당이란 무엇인가? (0) | 2014.03.18 |